“루이 14세는 놓치는 것이 없었다.
그의 통치 기간 중 역사적 이정표가 될 만한 사건이 수없이 일어났고,
이 모두는 루이 14세가 주도한 것이다.”
유행을 창시하다
루이 14세의 패션 혁명이 일어나기 전 사람들의 의상은 개인 양재사나 재봉사에게 맡겼고, 원단부터 디자인까지 직접 결정해야 했기 때문에 각각의 신분에 맡게 혹은 재산에 따라 서로 다른 옷을 입어야만 했습니다. 허나 1670년대 루이 14세와 베르사유 귀부인들, 솜씨 좋은 디자이너들이 모여 새로운 패션을 도모하면서부터 많은 것들이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제일 먼저 귀부인들은 맞춤옷을 포기했고, 시즌을 대표하는 대표 스타일 ‘룩’이 먼저 등장을 했으며, 디자이너들은 적당한 가격의 비슷한 옷들을 출시해 매장에서 판매함으로써 귀족뿐 아니라 평민들 또한 유행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습니다. 이에 귀족과 대중 모두에게 인기를 얻는 거물급 디자이너가 탄생, 고급 의류를 창조하고 제작하는 그들을 일컫는 ‘쿠튀리에르’라는 신조어가 탄생했습니다. 추후 이 단어는 그 유명한 ‘오뜨 쿠튀르’의 어원이 되죠.
슈즈 매니아의 원조
현대의 여성들이 패션을 논할 때 옷보다 더 중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가방과 슈즈인데요, 루이 14세가 최초의 슈즈 매니아였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실제 태양왕 루이 14세는 ‘오트 펌프스(haute pumps, 수제화)’에 열광, 이에 제화공이란 직업이 생겨났고 제화업계가 대변혁을 거치게 됩니다. 루이 14세에게 아름다운 슈즈를 선물, 왕의 마음 속 든 전설 속의 제화공 레스타주의 등장으로 프랑스의 신발 업계는 붐이 일어났을 뿐 아니라 레스타주는 귀족으로 신분까지 상승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루이 14세가 신발에 집착했던 이유는 아마도 자신의 각선미에 대한 자부심 때문에 자신의 다리를 더욱 예뻐 보일 수 있는 신발이 필요했던 게 아니었을까라고 후대의 사람들은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루이 프렌치>
하이힐을 즐겨 신었던 루이 14세는 디테일마저 놓치지 않았습니다. 구두에는 다양한 장식들로 화려해졌으며 굽에도 매우 신경을 써 곡선미가 우아한 루이 힐(루이 프렌치, 뒷굽이 우아한 곡선을 이루고 있고, 밑창이 굽에서부터 아치를 지나서 앞부분까지 이어진 굽)을 만들어내었고, 재임 말기 하이힐에 정교한 그림을 그녀 넣어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또한 실내에서 신던 뮬(뒤싸개가 없는 신발)을 밖에서 신을 수 있는 신발로 만들면서 프랑스 혁명 전까지 뮬의 황금기를 이루어내죠. 이렇듯 왕의 다리를 예뻐 보일 수 있는 원초적인 본능에 이끌려 탄생한 프랑스 슈즈의 발전, 루이 14세가 없었더라면 ‘섹스 앤더 시티’의 캐리가 마놀로 블라닉에 열광하고 지미 추를 탐닉하는 ‘슈즈홀릭’ 이 되는 일은 없었을 지도 모릅니다.<우아한 핑크 빛 뮬로 연인을 유혹하는 그림 속 귀부인은 뮬을 섹시한 신발로 묘사, 프라고나르의 '그네'세부 모습, 1760년대 작>
프랑스 왕정사상 가장 강력한 왕권을 자랑함과 동시에 최초이자 가장 민감했던 패셔니스타 루이 14세. 정권 말에는 강력한 왕권도 화려했던 문화 예술도, 그리고 굳건하던 그의 정신마저도 피폐해진 채 어두운 막을 내리고 말았지만 “짐은 이제 죽는다. 그러나 국가는 영원하리라.”라는 그의 말처럼 지금까지 가장 선명히 남는 시대 중에 하나 임은 분명합니다. 루이까또즈에서도 그의 화려했던 열정과 패션과 문화에 대한 애정을 이어나가기 위해 끊임없이 거듭나고 노력하는 브랜드가 되겠습니다.
참고문헌] 스타일 나다-조안 드잔
'culture > frenchinfr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유산/아뜰리에] 예술의 혼이 피어나는 몽마르뜨 언덕을 가다 (0) | 2012.04.23 |
---|---|
[추리소설/모리스르블랑/아서코난도일] 셜록 홈즈 vs 아르센 뤼팽 (6) | 2012.04.20 |
[루이14세/패션/태양왕] 최초의 패셔니스타, 루이14세를 들여다 보다 (0) | 2012.04.18 |
[초콜릿/알공예] 달콤한 4월의 부활절 (0) | 2012.04.16 |
[라비앙로즈/인셉션/기욤까네] 품위 있는 당당함, 마리옹 꼬띠아르 (7) | 2012.04.10 |
[65회칸영화제/홍상수/박찬욱/김기덕] 깐느영화제, 그리고 한국영화 (0) | 2012.04.03 |